본문 바로가기

골프특강/골프이론

[스크랩] 정확한 어드레스의 방법과 이유

어드레스에서 구부리는 부분은 무릎과 고관절입니다.

 

양 발을 어깨 넓이로 벌리고,

무릎은 당연히 편안하게 앞으로 약간 구부리면 됩니다.

 

문제는 고관절이지요.

 

고관절을 접어서 히프는 약간 뒤로 빼어 높은 의자에 걸터앉는 것처럼 하면

히프와 양쪽 넙적다리에 힘이 약간 들어가며 견고하게 설 수 있습니다.

 

상체는 차렷 자세에서 고관절을 접어 앞으로 숙입니다.

클럽 헤드 바닥면 (소울)을 땅바닥에 살짝 내려 놓는 정도로 숙입니다. 

(땅을 누를 정도로 상체를 많이 숙이면 이 역시 뒷 땅의 원인이 됩니다.)

 

이 때, 상체의 척추는 차려 자세처럼 똑바로 펴져 있는 것이 좋습니다.

척추는 몸통 회전의 중심이므로 새우등처럼 척추가 구부러지면 그만큼 회전에 방해가 됩니다.

 

 

이 시점에서 머리가 공 오른쪽으로 가야하는 이유와 정확한 벙법이 있어야 합니다.

 

우선, 머리가 공 뒤에 있어야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정확한 스윙 궤도의 형성과 스윙 스피드를 늘려

공을 똑바로 더 멀리 날리기 위해서 입니다.

 

어드레스 때 머리가 공 뒤, 즉 공의 오른쪽에 두는 방법은

역시 고관절을 꺽어서 히프를 약간 왼쪽으로 밀고

상체 전체를 오른쪽으로 약간 기울게하면 자연히 머리가 공 오른쪽에 위치하게 됩니다.

 

상체를 앞으로 숙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체를 오른쪽으로 기울일 때도

척추는 휘지않게 머리와 목을 포함한 상체 전체를 반듯하게 오른쪽으로 기울여야 합니다.

 

이렇게 척추를 바르게 해야하는 이유는

몸통 회전의 중심축인 척추가 일직선일 때가 척추를 활처럼 휘어지게 섰을 때보다

상체의 회전이 정확하게 되고 회전의 스피드도 빨라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상체 전체를 오른쪽으로 기울여 머리가 공 뒤(공의 오른쪽)에 있으면

백 스윙 때 히프가 오른쪽으로 스웨이되는 것을 막아주어

스윙 탑에서 가슴이 하늘을 향해 열리며 오버 더 탑이 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오버 더 탑이 되면 스윙 축이 오른쪽으로 활처럼 휘어져서 스윙 궤도가 무너지고

다운 스윙에서 하체리드를 하기 힘든 자세가 됩니다.

 

정확한 스윙 탑의 모양은 어드레스 때 앞으로 숙여진 각도를 스윙 탑에서도 유지해야 하는데

백스윙 때 히프가 오른쪽으로 빠지면 숙여진 고관절도 펴지게 되어 

다운 스윙에서 고관절을 다시 구부려야하는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스윙을 하게됩니다.

 

이해하기 쉽게 공을 멀리 던질 때의 자세와 비교해 보면

공을 멀리 던질 때도 공을 뒤로 보내는 백스윙의 구간이 있습니다.

 

오른 다리를 축으로 몸통을 우측으로 회전하며 손에 든 공을 몸 뒤로 보내는 백스윙 구간이 있고

몸통이 충분히 꼬아지고 상체가 히프보다 오른쪽(목표 반대쪽)으로 기울어져야

공을 멀리 던질 자세가 되는 것이지요. 또 이것이 골프의 스윙 탑에 해당됩니다.

 

오버 더 탑이 나쁜 이유는

공을 던지려고 공을 몸 뒤로 보낼 때

히프가 공보다도 더 오른쪽으로 밀려 상체가 왼쪽으로 기울어지고

머리도 상체와 같이 왼쪽으로 기울어져 공을 도저히 멀리 던질 수 있는 자세가 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하체 리드로 체중 이동을 하기가 너무나 힘든 자세가 되기 때문입니다.

 

골프 스윙에서도 공을 던질 때와 마찬가지로

하체 리드에 의한 정확한 체중이동과

머리가 공 뒤에 남아서 임팩트를 맞이하는 정확한 스윙 궤도로

스윗 스팟에 정확하게 임팩트를 하며

흔들리지 않는 스윙 축을 이용한 최대의 스윙 스피드를 내어

 

최대의 스피드와 정확한 스윗 스팟 타격에 의한 최대의 비거리를 만들어 내기 위하여

정확한 어드레스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말씀을 드렸습니다.

 

 

골프장에서 생긴일에 나온 솔향님께서 골싱 고수분들과의 라운드에서

히프를 약간 왼쪽으로 밀고 어드레스를 했더니

거리가 갑자기 30m가 늘어났다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출처 : 골프 싱글 쉽게 되기
글쓴이 : gentle 원글보기
메모 :